안녕하세요 무택입니다 :)
오늘은 클로드를 사용하면서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모델 별 답변 차이'에 대해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클로드의 대표적인 모델인 소넷과 하이쿠, 이 두 모델의 실제 성능은 어떻게 다를까요? 같은 질문을 던져보고 결과를 비교해 봤습니다.

소넷, 하이쿠 차이가 뭐야?
소넷(Sonnet)은 성능이 좋지만 리소스를 더 많이 사용하는 모델입니다. 단순한 질문을 해도 질문에 담긴 의미를 깊이 파악하고, 더 복잡한 작업과 추론 능력을 발휘합니다. 생성 AI를 더 심층적으로 활용하고 싶을 때 적합한 모델이죠.
하이쿠(Haiku)는 소넷에 비해 성능은 떨어지지만 리소스가 덜 들어가고 간단한 질문은 더 빠르게 답변할 수 있는 모델입니다. 주로 일상적이고 간단한 질문에 적합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리소스'란 생성 AI를 사용할 때 사용자당 정해진 사용량을 의미합니다. 리소스를 모두 소모하면 몇 시간 후거나 하루 뒤에 다시 질문할 수 있게 됩니다.
본격적으로 성능 비교해 보기
저는 두 모델을 비교해 보기 위해 대표적으로 세 가지 유형의 질문을 준비했습니다:
- HTML과 CSS만 이용한 코딩 요청
- 정보 요청 질문
- 추론이 필요한 창작 콘텐츠 생성
1번과 2번은 상대적으로 어렵지 않은 작업이지만 두 모델의 접근 방식 차이를 보기 위해 선택했고, 3번은 두 모델의 추론 능력과 창의적 콘텐츠 생성 능력의 차이를 명확히 알아보기 위한 질문입니다.
1. HTML과 CSS만 이용한 코딩 요청
질문: "html/css를 이용해서 관리자 대시보드 페이지를 코딩해줘."

하이쿠의 답변:
- 요청하지 않은 테일윈드 프레임워크를 사용해서 만들어줌
- 최소한의 기능으로 페이지 구성
- 깔끔하지만 기본적인 디자인
소넷의 답변:
- 반응형 디자인까지 고려해서 구현, 사이드 메뉴바의 토글 기능까지 추가
- 하이쿠보다 더 많고 심화된 기능(차트, 상세 메뉴 구성 등)
- 디자인적으로는 하이쿠와 큰 차이는 없지만 세부 디테일이 더 풍부함
정리:
예상대로 하이쿠와 소넷의 성능 차이는 분명합니다. 그래도 단순 HTML 코딩 능력은 하이쿠도 기본적인 수준에서는 충분히 사용 가능합니다. 다만 소넷은 사용자가 명시적으로 요청하지 않은 추가 기능까지 고려해 더 실용적인 결과물을 제공했습니다.
2. 정보 요청 질문
질문: "한, 중, 일의 GDP 차이는 어떻게 되고, GDP 차이의 이유에 대해 알려줘."

하이쿠의 답변:
- 답변 정보를 단답형으로, 핵심만 알려줌
- 텍스트 강조나 문단 정리도 최소한으로 제공
- 기본적인 통계 수치 위주의 설명
소넷의 답변:
- 답변 정보에 부가 설명까지 포함해 이해하기 쉬움
- 텍스트 강조, 문단 정리도 가독성 높게 표시
- 역사적 배경, 경제 구조 차이 등 맥락 정보 추가 제공
정리:
단순 정보만 필요하다면 하이쿠로도 충분하지만, 맥락과 부연 설명을 원한다면 소넷이 훨씬 낫습니다. 하이쿠도 추가 질문을 하면 더 자세한 답변을 제공하지만, 소넷은 처음부터 사용자가 궁금할 만한 부분을 예측하여 답변에 포함시킵니다. 특히 복잡한 정보를 구조화하는 능력에서 소넷이 우수했습니다.
3. 추론이 필요한 창작 콘텐츠 생성
질문: "7살에게 읽어줄 만한 시를 하나 써줘. 주제는 코끼리와 AI."

하이쿠의 답변:
- 내용이 자연스럽지 못하고 어린이가 이해하기 어려운 개념으로 구성
- 시적 요소를 넣으려 했으나 억지스럽고 부자연스러운 느낌
- 7살 아이의 언어 발달 수준과 관심사를 제대로 고려하지 못함
소넷의 답변:
- 내용이 비교적 자연스럽고 7살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작성
- 아이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듯한 친근하고 상상력 넘치는 내용
- 코끼리와 AI라는 이질적 주제를 아이들이 공감할 수 있는 방식으로 연결
정리:
창의력과 추론 능력이 필요한 질문에서 하이쿠는 확실히 한계를 보였습니다. 주어진 조건(7살 독자, 코끼리와 AI 주제)을 모두 충족시키려 했지만 결과물은 부자연스럽고 목표 독자층에 적합하지 않았습니다. 반면 소넷은 어려운 주제인 AI를 어린이 수준에 맞게 재해석하여 이해하기 쉽고 흥미로운 시를 만들어냈습니다.
마무리해보자면
솔직히 말씀드리자면, 그냥 소넷으로만 사용하세요. 클로드 구독자에게 하이쿠는 웬만하면 추천하지 않습니다. 하이쿠가 간단한 질문은 처리 가능하다고 하지만, 그 질문도 소넷에 물어보면 훨씬 좋은 퀄리티로 답변을 얻을 수 있습니다.
웬만하면 소넷을 주로 사용하시고, 하루에 클로드를 정말 많이 사용해서 리소스가 금방 바닥날 것 같다 싶을 때만 하이쿠로 바꿔서 사용하세요. 그것도 정말 단순한 정보 검색이나 간단한 도움이 필요할 때만 제한적으로요.
저는 하이쿠의 퀄리티가 생각보다 떨어져서 실망했어요. 물론 생성 AI 초창기였다면 하이쿠의 성능도 놀라울 만했겠지만, 이미 훨씬 더 성능 좋은 모델들이 많이 나온 시점에서 굳이 하이쿠를 선택할 이유는 없어 보입니다.
반면 소넷의 성능은 정말 인상적입니다. 복잡한 추론, 창의적 콘텐츠 생성, 맥락 이해 등 다양한 측면에서 하이쿠보다 월등한 성능을 보여줬습니다. 특히 코딩이나 창작 콘텐츠 같은 복잡한 작업에서 그 차이가 두드러졌습니다.
추가 팁: 모델 선택 가이드
- 소넷을 사용해야 할 때:
- 복잡한 질문이나 작업이 필요할 때
- 창의적인 콘텐츠 생성이 필요할 때
- 코딩이나 기술적 문제 해결이 필요할 때
- 깊이 있는 분석과 설명을 원할 때
- 하이쿠를 사용해도 될 때:
- 매우 간단한 정보 검색이 필요할 때
- 리소스 사용량을 최소화해야 할 때
- 빠른 응답 시간이 중요할 때
- 소넷 리소스를 아끼고 싶을 때
결론적으로, 클로드를 정말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싶다면 소넷을 기본 모델로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제가 한 달 동안 사용해본 바로는 소넷 만족도는 아주 좋아요.
같이 보면 좋은 글
[클로드] 한 달 동안 사용해본 생성 AI 후기
안녕하세요 무택입니다 :)저는 한 달 전에 생성 AI "클로드"를 구독하기 시작했어요.그래서 오늘은 한 달 동안 제가 클로드를 어떻게 사용했는지 클로드 사용방법, 느낀 점들을 풀
mu08.tistory.com
'💡생성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로드] 한 달 동안 사용해본 생성 AI 후기 (0) | 2025.03.13 |
---|---|
출처가 분명한 검색AI를 사용하고 싶다면? 퍼플렉시티AI (0) | 2024.08.01 |
깜짝 놀랄 정도로 좋아진 Firefly3 업데이트 (2) | 2024.05.03 |
10배 더 빠르게! 미드저니가 당신의 캐릭터 제작 시간을 단축합니다. 인물 일관성 유지(--cref, --cw) (0) | 2024.03.13 |
당신만의 캐릭터, 니지저니로 만들어 드릴게요! (0) | 2024.02.21 |